황기소엽탕(黃芪蘇葉湯)
왜냐하면, 소음인은 보통 때에도 몸에서 땀기가 없어야 정상적인데, 운동을 하거나 중노동을 하는 외에 가만히 있어도 땀이 나는 것은 체력이 저하된 증거이므로 빨리 보기(補氣)하는 약을 써서 땀을 막아야 하는바 이런 경우에 이 처방을 쓴다. 소음인의 열성병에 약을 써서 땀이 나면 처음에는 기분이 좋다가도 얼마 후에 또다시 오한 발열이 계속되고 땀이 그치지 않는바 이는 점점 병이 중한 증세로 악화되는 현상이다. 이 처방은 황기 16g, 계지(桂枝)·백작약 각 8g, 천궁(川芎)·당귀(當歸)·소엽·감초 각 4g으로 구성되었다. 여기서 황기가 주약(主藥)이 되어 보기하여 땀을 막으며, 계지는 땀을 막는 동시에 진통작용이 있고, 백작약은 수렴(收斂)·진경(鎭痙)·진통·해열작용을 하며, 천궁은 행혈(行血)을 하고, 당귀는 생혈(生血)을 하며...